지식창고26 동양음악사학 동양음악사학은 동양음악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동양음악사는 한국음악사학, 중국음악사학, 일본음악사학, 인도음악사학, 자바음악사학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한국음악사학] 1. 개요 근대적 인문학으로서의 한국음악사학 연구는 한국 음악을 연구하는 한국국악학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혜구(李惠求)는 1940년대 를 발표한 이래 많은 논문을 내었고 논문집 와 , 을 내었다. 장사훈(張師勛)은 를 비롯하여 많은 논문을 내었고 논문집 ·····를 내었다. 그 밖에도 함화진(咸和鎭)의 , 성경린(成慶麟)의 ····, 김기수(金琪洙)의 , 박헌봉(朴憲鳳)의 등의 저서가 있다. 1959년에는 인문학인 한국음악사학이 엄연히 다른 음악 연주와 작곡을 담당하는 영역과 공존하는 형태이지만,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 국악과 이론전공이.. 2023. 10. 15. 서양음악사학 서양음악사학은 서양 음악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학문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를 거쳐 중세 시대에는 대학에서 7가지 자유 인문 학문 중 하나로 교육 및 연구되었다. 르네상스를 거쳐 18세기 포르켈 등을 대표하여 독일을 중심으로 근대 과학의 인문학으로 발전되었다. [역사] 1. 근대 이전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피타고라스 등은 뛰어난 음악사상가이기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아리스토크세누스, 아리스티데스 퀸틸리아누스 등은 고대 그리스음악의 음악이론을 구축해 낸 훌륭한 저서들을 배출해 냈다. 중세 시대에는 기보법이 처음 발전했으며, 자유 인문 학문 중 하나로 대학에서 교육 및 연구되었고, 보에티우스와 마르치아누스 카펠라, 귀도 다레초 등이 뛰어난 음악 이론가였다. 르네상스 시대의 뛰어난 음악 이론가였던 요.. 2023. 10. 15. 음악과 음악사학 [음악] 음악(音樂)은 박자, 가락, 음성 따위를 갖가지 형식으로 조화하고 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사상 또는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로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 예술이다. 보존 및 표기는 시각적인 매체인 악보를 사용한다. 인간의 고도의 감성적이며 지성적인 활동의 산물인 음악은 인류의 문화 발전사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매우 일찍 인간 생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았고 인류 문화 발전의 총체적 원동력이 되어온 동시에 인류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음악은 서양음악과 전통음악 등 지역별로, 고대음악과 현대음악 등 시대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음악이란 단어는 순수한 음악을 지칭하는 단어이므로 음악에 대응되는 단어는 대중음악이다. 오늘날 음악의 분야는 음악 작품을 창작하는 작곡 .. 2023. 10. 15. 공연예술 - [무용] [정의] 무용, 춤은 혼(정신)과 몸(신체)을 통해 무언가를 표현하는 예술의 한 종류이다.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표현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영적인 의식 또는 공연 등에도 춤이 이용된다. 예술의 관점에서는 미적(美的) 정서를 리듬에 맞춰 신체로 표현하는 공연예술이다. 음악 또는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예술적 행위이지만, 음악이 꼭 있어야 리듬에 맞추거나 리듬을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춤은 또한 사람이나 동물 사이(예: 벌의 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방식을 말하는 데에도 쓰이기도 한다. [무용의 소재] 무용의 소재는 살아 있는 인간의 신체이다. 인적 구성은 작품 내용을 기본적으로 방향 지어주는 것이다. 남성 또는 다수 인원의 구성에는 자체의 역량감이 다르며, 여성에게는 유연한 느낌, 혹은 섬.. 2023. 10. 3.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