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言語學, linguistics)은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의 기능과 본질을 과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문법과 같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지식을 체계화, 규칙화하는 것에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인지 및 사회적인 부분도 다루기 때문에 인문학뿐 아니라 사회과학, 자연과학, 인지과학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언어학은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연구를 모두 포괄한다. 이론언어학은 언어철학 등 인간 언어의 이론적인 부분을 다룬다. 응용언어학은 언어교육이나 문해와 같이 보다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연구한다.
언어 체계의 분석은 크게 문장의 구조와 규칙에 대한 통사론, 의미론, 단어의 구조에 대한 형태론, 음성학, 음운론, 화용론으로 구분한다. 이외에도 진화 등 생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생물 언어학, 심리학적 요소를 고려한 심리언어학 등의 분과도 존재한다.
언어 현상을 어떤 관점으로 연구할지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간을 기준으로 어떤 한순간의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다룰 수 있는 언어의 개수에 따라 다중언어와 단일언어로 그 대상을 구분할 수도 있고, 아이와 어른으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학습한 것과 습득한 것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역사언어학]
역사언어학(歷史言語學, Historical linguistics)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다. 때로는 비교언어학을 역사언어학의 한 분야로 간주하기도 한다. 언어는 계속 변화하므로 역사언어학에서는 공통의 조어(祖語)에서 갈라진 여러 언어의 계통을 연구하고 고대 조어를 재구성하기도 하는데 같은 조어에서 갈라진 여러 언어를 통틀어 한 어족(語族)이라고 이른다. 또 같은 어족 내에도 여러 하위 관계가 있을 수 있어 한 어족은 또 여러 어파(語派)로 나뉜다. 이러한 언어 계통의 연구는 19세기의 역사 언어학자 아우구스트 슐라이허가 개척하였다. 이러한 언어 계통을 정립하는 데는 비교 방법(comparative method)이 사용되는데 같은 계통의 언어를 비교하여 규칙적인 음운·어휘 등의 대응을 통해 어떻게 언어들이 갈라져 생겨났는지를 연구한다. 언어학은 역사언어학으로부터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비교언어학]
비교언어학(比較言語學, comparative linguistics, comparative-historical linguistics)은 같은 기원을 가진 언어들의 관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다. 역사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언어는 계속 변화하므로 역사언어학에서는 공통의 조어(祖語)에서 갈라진 여러 언어의 계통을 연구하고 고대 조어를 재구성하기도 하는데 같은 조어에서 갈라진 여러 언어를 통틀어 한 어족(語族)이라고 이른다. 또 같은 어족 내에도 여러 하위 관계가 있을 수 있어 한 어족은 또 여러 어파(語派)로 나뉜다. 영국의 법률가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 1746-1794)에 의하여 본격적인 비교언어학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언어 계통의 연구는 19세기의 역사 언어학자 아우구스트 슐라이허(August Schleicher)가 개척하였다. 이러한 언어 계통을 정립하는 데는 비교 방법(comparative method)이 사용되는데 같은 계통의 언어를 비교하여 규칙적인 음운·어휘 등의 대응을 통해 어떻게 언어들이 갈라져 생겨났는지를 연구한다. 언어학은 역사언어학으로부터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어원학]
어원학(語原學)은 단어의 역사, 즉 그 단어가 어디에서부터 왔으며, 단어의 형태와 의미가 시간이 흐르면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오랜 기간 글로 쓰였던 언어에서, 초기에는 단어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고 언제 그 언어로 유입되었는가에 관한 지식을 얻기 위해 그 언어로 쓰였거나 그와 관계있는 문헌 사료들이 이용된다. 또한 이용할 수 있는 어떤 직접적인 정보도 남아 있지 않은 오래된 언어에 관한 정보를 재현하기 위해 비교언어학적 방법을 적용하기도 한다. 비교학적 방법이라고 알려진 기술을 이용해 그와 관계있는 다른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부모 언어와 그 어휘에 관해 추론할 수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어근이 발견되면 예를 들어 인도-유럽어족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근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본래 어원 연구가 문헌학적 전통으로부터 형성된 것이긴 하나, 오늘날에는 우랄어족이나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같은 이용 가능한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어족에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시태와 통시태]
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나누는 가장 큰 구분 중의 하나는 어떤 한순간의 언어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을 구분하는 것이다.
공시태(共時態, Synchrony)와 통시태(通時態, Diachrony)는 서로 상대되며 상호 보완하는 언어학의 두 연구 관점이다.
공시태는 어떠한 언어의 특정한 시기의 상태를 이르는 반면, 통시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의 상태를 뜻한다.
이 두 관점을 연구하는 학문을 공시언어학(共時言語學, Synchronic Linguistics)과 통시언어학(通時言語學, Diachronic Linguistics)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세기의 언어학 연구는 언어의 역사적인 변천을 추적하는 역사언어학과 여러 언어를 비교하는 비교언어학에 치우쳐 있었다. 이때는 문헌으로 남아 있는 언어 자료와 언중이 사용하는 언어의 현실태를 공히 언어라고 부르며 따로 구별하지 않았는데,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등장하면서 언어의 공시태와 통시태가 엄격히 구별되게 되었다.
통시언어학은 언어를 역사가 흐르는 동안 축적된 변화의 결과물로 본다. 따라서 통시언어학에서는 언어의 본질을 파헤칠 때 어원, 계통, 음운 추이에 주목한다. 반면 공시언어학은 언어를 언중이 지니고 있는 언어 지식의 총체로 본다. 그러므로 일반인이 따로 공부하기 전엔 알 수 없는 어원이나 계통, 언어의 역사적 변천은 공시언어학의 연구 대상이 아니다.
역사언어학은 대부분 통시언어학이지만 과거의 특정 시기에 초점을 맞춰 역사적 변천과 무관한 당시의 언어 현실만을 연구한다면 그것도 공시언어학이 된다.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과학 (0) | 2023.08.20 |
---|---|
미술사[서양 미술사(2)] (0) | 2023.08.05 |
미술사[서양 미술사(1)] (0) | 2023.08.05 |
미술사[동양 미술사] (0) | 2023.08.05 |
인문학 (0) | 2023.08.04 |
인류학 (0) | 2023.08.04 |
고고학 (0) | 2023.08.04 |
문헌정보학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