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과학(情報科學, information science 또는 information studies)은 주로 정보의 분석, 수집, 분류, 검색, 이용, 저장, 배포에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다루는 학제 간 연구이다.
정보과학 연구자들은 보통 커뮤니케이션, 컴퓨터 과학, 사회학, 법학, 문헌정보학 등 관련 분야에 소속되나, 일부 대학의 경우 정보과학을 위한 별도 과정, 학과 또는 단과대학을 두기도 한다.
[정보 아키텍처]
정보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IA)는 모델을 정보 개념을 활용하여 복합 시스템으로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활동 영역은 도서관 시스템, 경영 시스템 내용, 웹 개발,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개발, 프로그래밍, 테크니컬 라이팅, 건축 계획과 평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디자인에 쓰인다.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의 분기 혹은 정보 기술 아키텍처에서 다소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주로 공유 환경의 구조 디자인, 웹사이트의 분류와 조직화 순서, 인트라넷과 온라인 커뮤니티, 디자인 요소를 가져오는 방법과 설계를 디지털 구조화하는 방법으로 정의된다.
정보 아키텍처는 구조 일치성, 고유적이지 않고 많은 사람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 즐기도록 정보를 분류하는 것이다. 주로 단계적 분류로 되어 있으나 다른 구조인 원형 혹은 나선형 구조 등으로도 할 수 있다. 근본원리, 기호 혹은 시스템의 표시로는 설계할 수 없다.
정보 시스템 디자인의 문맥에는 정보 아키텍처가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 전체의 디자인과 분석으로 조화를 이룬다. 각자의 데이터베이스와 각기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아마도 다수 혹은 수백의) 회사 데이터 모델이 합쳐져 데이터 모델링을 이루게 된다. ‘규범 데이터 모델’은 시스템의 계획과 특별한 데이터 전달의 정의 사이에서 통합 기술이 적용된다. 보다 높은 추상적 개념에서는 아마 데이터 스토어의 정의에 의존하게 된다.
정보 아키텍처의 창시자는 리처드 사울 워먼(Richard Saul Wurman)이다. 워먼은 아키텍트(구조)라는 말을 “외교 정책의 구조”와 같은 말에 쓰인 “구조”를 지칭한다고 설명했다.
정보 아키텍처는 특별한 기술로 만들어지는데, 정보의 해석과 다른 특징들의 표현을 사인과 시스템의 사인으로 해석한다. 도서관학에서 유래한다. 정보 과학화 부분에서 정보 아키텍처를 가르치는 학교가 많이 있다.
[정보 관리]
정보 관리(情報管理)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의 정보 수집, 필요한 사람에 대한 정보의 임무 및 기록, 배포, 보관 및 삭제를 통한 궁극적인 정리를 아우르는 조직 활동의 순환이다.
정보 관리는 모든 관리의 일반적인 개념을 아우르는데, 여기에는 정보 활동의 계획, 가공, 조직, 구조화, 제어, 평가, 보고를 포함하며, 이 모두가 정보에 의존하는 조직적 역할이나 기능의 해당 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하다.
정보 관리는 데이터, 프로세스, 시스템, 기술, 그리고 조직의 성공에 중요한 정보가 이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전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겹치기도 한다. 정보 관리의 수명 주기는 특정한 과정, 조직적 능력, 그리고 상품이나 용역으로서의 정보를 다룰만한 표준을 요구하는 운영상의 문제이다.
[정보화 사회]
정보 및 정보화 사회는 현대사회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매우 많은 내용을 포함하며 그 정의도 다양하다.
정보란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에서 '발신자 또는 수신자 사이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연과학에서는 정보를 사상(捨象)된 부호로서 이해하고 있다. 사회과학에서는 정보를 인간 행동과의 관계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데 반해, 자연과학에서는 기계에 의한 정보의 전달·처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사회과학에서의 정보도 그 '의미'의 구체적 내용에 따라 특정의 행동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정보(수단적 정보)와 정보의 발신·수신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정보(卽自的 정보)가 있다.
정보화 사회의 정의도 정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데, 주로 다음의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질과 양 모두 풍부한 정보가 생산되어 유통되는 사회
2. 이들 풍부한 정보의 생산·처리·전달·축적에 일정한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그 비용을 부담하는 구조를 이룬 사회
3. 정보의 생산·처리·전달·축적을 원활하고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한 정보기기나 정보 네트워크가 급격히 발달하여 보급되는 사회 등이다.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연예술 - [무용] (0) | 2023.10.03 |
---|---|
공연예술 - [오페라] (0) | 2023.10.03 |
언론정보학 (0) | 2023.08.20 |
신화학 (0) | 2023.08.20 |
미술사[서양 미술사(2)] (0) | 2023.08.05 |
미술사[서양 미술사(1)] (0) | 2023.08.05 |
미술사[동양 미술사] (0) | 2023.08.05 |
언어학 (0) | 2023.08.04 |